Everyday Wellbeing & Taste

A blog dedicated to mindful living — through food, health, and everyday joys.

건강

활동량 부족한 날, 기초대사량 유지하는 식사법 | 앉아서도 건강 지키는 식단 전략

ahavazam 2025. 4. 14. 07:42

 

1. 활동량이 적은 날, 대사량은 어떻게 될까?

비 오는 날, 컨디션이 나쁜 날,

혹은 장시간 외출이 어려운 노년기에는 활동량이 눈에 띄게 줄어들 수 있습니다.

이런 날, 많은 분들이 “오늘은 안 움직였으니 밥을 적게 먹어야 하나?”라고 생각하시지만,

기초대사량은 가만히 있어도 소모되는 생존 에너지입니다.

 

기초대사량(Basal Metabolic Rate, BMR)이란,

심장박동, 체온유지, 호흡 등 생명 유지에 꼭 필요한 에너지로

하루 전체 소비 에너지의 약 60~70% 를 차지합니다.

 

즉, 움직이지 않아도 우리는 하루 내내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고,

이때 필요한 영양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으면,

⛔ 기초대사 저하

⛔ 근육 손실

⛔ 면역력 약화

⛔ 장 기능 저하

등의 악순환이 시작됩니다.

 

2. ‘덜 먹기’가 아닌, ‘제대로 먹기’가 핵심입니다

활동량이 적은 날에도 기초대사량을 지키는 식사는 반드시 필요합니다.

단, 칼로리 중심 식사에서 벗어나, 질 중심 식사로 전환해야 합니다.

조절할 항목 늘릴 항목
정제 탄수화물 ↓ 복합 탄수화물 (현미, 보리 등) ↑
기름진 단백질 ↓  담백한 단백질 (계란, 닭가슴살, 두부 등) ↑ 
나트륨 ↑ 칼륨, 섬유질 ↑
가공식품 ↓ 자연식품 ↑

 

   

 

3. 활동량 적은 날, 기초대사량 지켜주는 하루 식단 예시

✅ 아침 ✅ 점심 ✅ 간식 ✅ 저녁
현미죽 1그릇
달걀 반숙 1개
두부구이 (들기름 소량 사용)
바나나 1/2개
닭가슴살 샐러드 (잎채소 + 견과류 + 달걀 + 올리브오일)
고구마 1/2개

유자 드레싱 소량 or 발사믹 식초 사용
두유 1컵
아몬드 6알
플레인 요거트 (무가당)
블루베리 1/3컵
두부 미소국
보리밥 1/2공기
시금치나물, 버섯볶음
쌈채소 or 생김
💡 포인트: 소화 잘 되는 복합탄수화물 + 단백질로 시작 💡 포인트: 당 흡수 속도 ↓,
포만감 ↑, 대사 지속
  💡 포인트: 나트륨 낮추고,
섬유질 높여 장기 대사 보조

 

 

4. 활동량 부족한 날, 몸은 어떻게 반응할까?

반응 설명
체온이 낮아짐 혈액순환 저하 → 피로감 ↑
소화기능 저하 장운동 감소 → 변비 ↑
식욕조절 기능 혼란 활동량↓ = 식욕도 불규칙
근육 사용 감소 근손실 → 대사량 자체 저하 위험

 

따라서 ‘안 움직이는 날’이 오히려 대사 기능 저하의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.

 

5. 대사량 유지 위한 실천 팁 5가지

-따뜻한 음식 섭취: 내장 온도 유지 → 기초대사 보호

-물 충분히 마시기: 1.5~2L / 하루, 대사 과정 원활히

-장 운동 유도 스트레칭: 무리 없는 몸통 비틀기 3분

-단백질 20g 이상/끼니 확보: 근육 유지 = 대사 유지

-아침은 꼭 먹기: 아침 미섭취 시 대사 리듬 깨짐

 

✅ 결론 | 쉬는 날일수록, 내 몸의 ‘연료’는 더 섬세하게 채워야 합니다

움직이지 않는다고 덜 먹는 것이 정답은 아닙니다.

몸은 쉬어도, 대사는 계속되고 있고, 이를 뒷받침해줄 영양의 질과 균형이 필수입니다.

 

특히 노년기에는 한 끼 한 끼가 면역력, 근육 유지, 장기 건강과 직결되므로

‘움직이지 않는 날’을 건강관리의 기회로 전환해야 합니다.

 

✔️ 기초대사량을 유지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

바로 단백질 중심, 섬유질 보강, 소화 잘 되는 식사로의 전환입니다.

오늘 하루, 식탁에서 대사 건강을 지켜보세요.